Skip to content

Ansible

6 Topics 6 Posts

Subcategories


  • 3 Topics
    3 Posts
    ikhwanI
    자동화 프로젝트를 만들고,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Hello World” 플레이북을 만들어서 Ansible을 시작하세요. Ansible을 설치합니다. pip install ansible 파일 시스템에 프로젝트 폴더를 만듭니다. mkdir ansible_quickstart && cd ansible_quickstart 단일 디렉토리 구조를 사용하면 소스 제어에 추가하고 자동화 콘텐츠를 재사용 및 공유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Ansible을 계속 시작하세요.
  • 1 Topics
    1 Posts
    ikhwanI
    Ansible은 간단하고 유연하며 강력합니다. 다른 강력한 도구와 마찬가지로,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부는 다른 방법보다 더 좋습니다. 이 문서는 Red Hat의 Ansible 실무자, 컨설턴트, 개발자 등의 현장에서 얻은 모범 사례를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Red Hat 직원, 파트너 또는 고객(또는 모든 Ansible 사용자)이 좋은 조건에서 자동화 여정을 시작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의견에 기반한 가이드라인(guideline)입니다. 독자의 특정 사용 사례, 조직 또는 요구 사항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며, best practices가 아닌 good practices라고 하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이 문서의 독자는 Ansible의 실무 경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Ansible을 처음 사용하는 경우 공식 Ansible 문서의 Getting started 섹션에서 시작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이 문서는 6개의 주요 섹션으로 나뉩니다. 각 섹션은 Ansible을 사용한 자동화의 다양한 측면을 다룹니다(더 넓게는 Ansible 타워를 포함한 전체 Red Hat Ansible Automation Platform): 구조: 세부 사항을 살펴보기 전에 어떤 용도로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야 하는데, 이 섹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합니다. roles: 가장 실제적인 Ansible 코드를 호스팅하기 위해 역할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므로 이 섹션에서는 코드의 보다 낮은 수준의 측면(작업, 변수 등...)을 다룰 것입니다. collections playbooks inventories plugins 각 섹션은 기억하기 쉬운 한 문장으로 구성된 가이드라인과 설명, 근거 및 예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의 HTML 버전은 모든 가이드라인을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접을 수 있게 만들어 독자가 관심 있는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펼쳐서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각 모범 사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해당되는 경우 참고 자료도 함께 제공합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왜 이런 방식으로 수행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은 정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일부 항목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더 이상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표준의 추가 개정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사유가 포함되지 않으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 항목을 유지하거나, 유지해야 할 항목을 무턱대고 삭제할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또는 어떻게 작동하지 않는지) 이해하는 데 교육적 가치가 있습니다. 이 문서를 구하고 유지할 수 있는 곳 이 문서는 https://redhat-cop.github.io/automation-good-practices/ 에 게시되어 있으며 오픈 소스이며 소스 코드는 https://github.com/redhat-cop/automation-good-practices/ 에서 유지 관리됩니다.